놀러의 인공지능이 분석한 수애당 여행의 다양한 정보와 주변의 숙소들을 알아보세요.
* 처마 위로 비치는 별을 바라보며 추억을 만드는 하룻밤, 수애당 *수애(水涯) 류진걸(柳震杰)공이 1939년에 건립한 사가(私家)인데 건축주의 호를 따라 당호(堂號)를 수애당이라고 하였다. 넉넉한 마루와 부드러운 처마가 한폭의 멋진 풍경화를 연출하는 전통가옥이다. 원래 임동면 수곡리 612번지에 있었으나 임하댐 수몰로 인해 현위치로 이건되었다. 조선말기의 건축양식을 잘 나타내고 있는 수애당은 3동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아궁이에 불을 지피는 황토방 등 10개의 방에 40∼50여 명 정도가 숙박할 수 있다. 크게 화려하지 않은 기와집은 첫걸음인 여행객에게도 고향인 듯 다가오며, 대문안 텃밭과 파르스름이 마당을 덮은 잔디는 이 집의 풍치를 더욱 높여줄 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뒹굴며 놀 수 있는 놀이터이기도 하다. 어린아이 키 하나만큼은 높은 마루에 올라서면 임하호반의 그림같은 풍경이 한눈에 펼쳐진다. 특히 이곳을 찾은 외국인들은 하나같이 그 풍경에 무척 감격스러워 했다고 하니 한국의 멋을 맘껏 느낄 수 있는 곳이다. * 수애당의 구조의 역사적 의의 *수애당 오른쪽 대문채를 들어서면 담장으로 구획된 장방형의 행랑 마당이 나타난다. 담장 사이로 난 중문을 들어서면 일자형의 정침과 ‘ㄱ’자형의 고방채가 안마당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다. 대문채의 왼쪽에는 외양간과 창고를 두었고, 오른쪽에는 통간 온돌방을 두었다. 고방채는 12칸 규모의 ‘ㄱ’자형 건물로 정침의 앞에 자리 잡고 있으며, 외벽은 담장 역할을 하고 있다. 평면은 정침 쪽에서 보았을 때, 왼쪽으로부터 창고 2칸, 고방 4칸, 화장실 반 칸, 고방 1칸 반, 정지 1칸, 온돌방 1칸 반이 늘어서 있고, 건물의 맨 오른쪽에는 정침 쪽으로 축을 꺾어 고방 2칸을 두었다. 정침은 정면 7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기와집이다. 왼쪽으로부터 부엌, 안방, 윗방, 대청, 중간방, 사랑방이 순서대로 있고, 안방의 뒤에는 우물마루로 된 찬방 1칸을 두었다. 부엌과 사랑방 앞에는 반 칸 규모의 툇간을 두었으며, 사랑방의 앞과 오른쪽 옆에는 툇마루를 둘렀다. 1939년에 지은 수애당에 쓰인 목재는 모두 춘양목(春陽木)으로 보존 상태가 좋으며 조선 말기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준다. 평면 구성상 방의 크기가 제각기 다른 특징을 보이는데, 이것은 기둥을 중앙에 두지 않음으로써 생긴 반 칸을 활용하여 변화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문화재 정보]- 분 류 : 사묘재실- 지 정 :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56호- 지정일 : 1985. 8. 5- 시 대 : 조선시대
더보기이곳은 30대, 20대 방문이 많고 방문객들은 주로 안동 수애당, 지례예술촌에 관해 관심이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수애당 주변에는 총 0개의 숙소가 있습니다.